RSS 게시판 2.0 /data/nasdata/homepage/JWIZARD_7.0.0_smu/sites/pharmacy/ ko 제43회 동문재회의 날 행사 및 제31회 동문 회갑연 개최 /bbs/pharmacy/1683/206461/artclView.do 2024-12-11 14:14:23.0 약학부 12월 1일(일) 롯데호텔 서울 크리스탈볼룸에서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동문회(회장 김미경)는 '제43회 동문 재회의 날 및 31회 동문 회갑연'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문시연 총장, 전라옥 약대 학장, 동문회 회장 김미경, 부회장 김진욱, 총무이사 장진아, 재무이사 정윤정, 약대교수 임미정 교수, 송윤선 교수, 장창영 교수, 강교빈 교수, 조은 교수, 배규운 교수, 신민욱 교수, 김세건 교수, 김우영 교수, 방준석 교수, 김도희 교수, 김현아 교수, 김태현 교수, 변준호 교수 등이 참석했다. 김미경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많은 동문 2024 화이트코트세리머니 /bbs/pharmacy/1683/206458/artclView.do 2024-12-11 10:48:20.0 약학부 2024년 12월 5일 백주년기념관 한상은라운지에서 2024 화이트코트세레머니가 진행되었다.화이트코트세레머니는 약학 전문교과과정을 마치고 실무실습을 앞둔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학대학 교수와 선배들이 하얀 약사가운을 입혀주며 예비약사가 되는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행사이다.행사에는 문시연 총장, 전라옥 약학대학 학장, 김태현 학부장, 조정환교수, 김진석교수, 양미희교수, 송윤선교수, 김우영교수, 배규운교수, 조은교수, 방준석교수, 강교빈교수, 신민욱교수, 김세건교수, 김도희교수, 변준호교수가 참석하였다. 약학대학 동문회에서는 김 2024-2학기 약학 대학원 전공별 연구실 설명회 /bbs/pharmacy/1683/206389/artclView.do 2024-12-05 21:13:03.0 약학부 24년 11월 22일, 11월 29일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가 창학 B109호에서 진행되었다. 각 연구실에서 진행중인 다양한 연구활동에 대하여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연구실 설명회에는 학장님, 학부장님, 약학대학 교수진, 약학대학교 학생들이 참석하였다.▲ 11월 22일 금요일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 사진 ▲ 11월 29일 금요일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 사진 2024학년도 2학기 석·박사학위 공개 논문 발표회 /bbs/pharmacy/1683/206164/artclView.do 2024-11-21 11:05:07.0 약학부 2024년 11월 15일, 약/제약학과 임상보건사회약학전공 1명 제약학 전공 3명의 발표가 이루어졌다.공개논문발표회에는 공개발표자, 지도교수 및 심사위원, 약학대학 교수진, 대학원생 총 50여명이 참석하였다. 약학대학, 과기부 첨단바이오 글로벌 R&D 센터 선정… 난치암 치료제 개발에 3년간 22.5억 지원 /bbs/pharmacy/1683/205838/artclView.do 2024-10-30 14:21:51.0 약학부 약학대학 연구팀 (장창영·송윤선·김우영·김용기·신민욱·김도희·김세건·변준호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첨단바이오 글로벌 공동연구센터 구축 사업'에 선정돼 벨기에 겐트대학교와 난치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국제공동연구센터를 구축한다.이 사업은 국가 간 첨단바이오 분야 R D 협력에 관한 합의를 이행하고,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 지속가능한 협력 기반을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약학대학은 과기부가 공모한 15개 연구 과제 중 하나로 선정돼 3년간 연구비 총 22.5억원을 지원받는다. 사업 선정에 따라 유럽 명 약학부 박채원 학생, 2024 대한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 학부연구성과 공모전 장려상 수상 /bbs/pharmacy/1683/205768/artclView.do 2024-10-23 13:38:32.0 약학부 약학부 박채원 학생(지도교수 김태현)이 '2024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우수 학부연구성과(PSK Undergraduate Research Symposium) 공모전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 대한약학회는 약학의 진보와 학술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1946년에 설립된 비영리 학술 단체로, 글로벌 약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사흘간 "Advancing the Pharmaceutical Sciences by Cutting-Edge Technologies with Interdiscipli 2024-2학기 동문 기금 장학금 수여식 /bbs/pharmacy/1683/205767/artclView.do 2024-10-23 13:33:12.0 약학부 2024학년도 2학기 약학대학 동문 기금 장학금 수여식이 2024년 10월 16일 (수) 약학대학 206호에서 진행되었다. 장학금 수여식에는 정영자 동문, 김안근 명예교수, 김미경 약학대학 동문회장, 안영희 부회장, 장진아 총무가 참석하여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약학대학에서는 전라옥 학장, 김태현 학부장, 송윤선 교수, 임미정 교수, 배규운 교수, 조은 교수, 변준호 교수가 참석했다. 약학대학 총 7명의 학생이 장학생으로 선발되었고, 정영자 장학금, 동문회 기금 장학금, 박수선 장학금의 혜택을 받았다. 리코스 엔젤 한미약품 팔탄 공장 탐방 /bbs/pharmacy/1683/205766/artclView.do 2024-10-23 13:29:48.0 약학부 지난 8월 27일, 리코리스 엔젤 단원 33명은 김태현 교수의 인솔 하에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한미약품 팔탄사업장 스마트플랜트(이하 '팔탄스마트플랜트')을 견학했다. 리코리스 엔젤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소속의 리더십 그룹으로, 리더십 함양을 목표로 강연 및 견학 주최, 조제 봉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견학 프로그램은 한미약품 회사 및 팔탄공단 소개, 스마트플랜트 투어, 제약공장 약사의 업무 관련 질의응답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한미약품의 역사와 대표적인 제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물류·생산·공정의 자동화 시스템과 ICT 기 약학과 임상약학연구실 석사과정 정지영·강효정, ICDM 2024에서 트래블 그랜트 수상 /bbs/pharmacy/1683/205620/artclView.do 2024-10-14 12:34:36.0 약학부 약학과 임상약학연구실 석사과정 정지영, 강효정 학생이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학술대회인 ICDM(International Congress of Diabetes and Metabolism) 2024에서 트래블 그랜트(Travel Grant)를 수상했다. 이 학술대회는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동안 "Glocalization in Diabetes Care: Act Locally, Solve It Globally"를 주제로 개최됐다. Travel Grant는 학회 회원인 약사, 교육 간호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운동처방사 및 연구원 중 약학부 방준석 교수,미국약학대학협회 교육혁신상 수상 /bbs/pharmacy/1683/205618/artclView.do 2024-10-14 12:19:41.0 약학부 약학부 방준석 교수(대한약국학회 회장)가 올해 미국약학대학협회(AACP) 국제학술대회에서 교육혁신상(2024 New Outstanding Program Award)을 수상했다. 1900년 설립된 미국약학대학협회는 세계 60여개국 교수, 전문약사, 학생 등 6만여명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임상약학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학회다 방준석 교수는 의료 선진국에서 확대 중인 '약사에 의한 감염병 대응 예방접종교육 인증프로그램'을 국내 최초로 실시한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해 미국약사회(APhA), 대한약국학 약학부 양미희, 강교빈 교수, 세계 상위 2% 연구자에 선정 /bbs/pharmacy/1683/205511/artclView.do 2024-10-07 12:30:43.0 약학부 우리대학 약학부 양미희 교수와 강교빈 교수가 세계 최대 학술 출판사 엘스비어가 발표한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명단에 선정됐다. 엘스비어와 미국 스탠퍼드대는 매년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전 세계 연구자 중 논문 피인용도에 따른 영향력을 따져 명단을 공개한다. 이중 연구자의 생애 업적 기준으로 숙명여대 약학부 양미희 교수가 최상의 2% 연구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2023년 한 해 기준으로 숙명여대 약학부 강교빈 교수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왼쪽부터) 약학부 양미희 교수, 강교빈 교수 2024학년도 약학부 국제교류 프로그램 (USC ISSP) 시행 /bbs/pharmacy/1683/205354/artclView.do 2024-09-26 16:19:36.0 약학부 지난 2024년 7월 1일부터 8월 2일까지약학대학 5학년 재학생 10명은 김현아 교수님 인솔 아래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 약학대학의 2024 International Student Summer Program (ISSP)에 5주간 참여하였다. 2024 ISSP는 전 세계 13개 국가, 28개 학교에서 99명의약학대학 학생들이 참가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과 학문적 교류를 하고 약학적 지식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이는 약학대학 국제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 약학대학 창립 70주년 및 약학연구소 설립 60주년 학술 심포지엄 및 기념식 /bbs/pharmacy/1683/205353/artclView.do 2024-09-26 16:11:46.0 약학부 숙명여자대학교(총장 문시연) 약학대학(학장 전라옥)과 약학대학 총동문회(회장허인영)는 약학대학 창립 70주년과 약학연구소 60주년을 맞아 심포지엄 및 기념식이 개최되었다. 지난 5일 숙명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삼성컨벤션센터에서 개회식을 시작으로 학술 심포지엄을, 한상은 라운지에서 기념식을 이어서 진행했다. 전라옥 학장의 개회사와 허인영 동문회장의 축사로 약학대학 창립 70주년 및 약학연구소 설립 60주년 기념식의 시작을 알렸으며, 학술 심포지엄에서는 김영중 서울대명예교수와 문애리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이사장, 이윤실 이화여대MR 약학과 박사과정 이경하·최유경 학생, 세계 천연물 연구총회서 트래블 어워드 수상 /bbs/pharmacy/1683/204651/artclView.do 2024-07-30 10:19:32.0 약학부 약학과 박사과정 이경하, 최유경 학생(지도교수 강교빈)이 7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세계 천연물 연구총회에서 미국생약학회가 수여하는 트래블 어워드(Travel Award)를 수상했다. 세계 천연물 연구총회는 한국생약학회, 미국생약학회, 일본생약학회와 유럽 4개 천연물 관련 학회 등 7개 학회가 연합해 4년마다 개최하는 세계 최대 천연물 관련 학술대회다.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는 세계 각국에서 1000명이 넘는 연구자가 참석했다. 이경하 학생은 국내 자생하는 목서(Osmanthus)속 식물 3종의 부위별 성 약학과 박사과정 정은아·조예나·하소정 학생, 한국연구재단 연구장려금 선정 /bbs/pharmacy/1683/204650/artclView.do 2024-07-29 17:10:10.0 약학부 약학과 박사과정 학생 3명이 2024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 지원사업인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과제에 각각 선정됐다. 이 사업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박사과정 학생들의 학위 논문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은 과제당 연간 2500만원씩 2년간 총 연구비 5000만원을 받아 연구를 진행한다. 정은아 학생(지도교수 강교빈)은 비변성 질량분석을 활용한 천연물 유래 페롭토시스 저해제 발굴’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한다. 조예나 학생(지도교수 김용기)은 학생은 ‘CRAM1-DRP1 Axis를 통한 미토콘드리아 역동성 조절 기전 연구 제 1회 SMZip멘토링프로그램 개최 /bbs/pharmacy/1683/204647/artclView.do 2024-07-29 12:13:09.0 약학부 약학의 여러 분야에서모교를 빛내주시는 선배님들과 함께하는 제 1회 SMZip멘토링프로그램이지난 6월 22일, 눈꽃광장홀에서개최되었다. 이는 재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고민과 궁금증을 풀고, 약사직무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해 기획된 첫 학부 멘토링프로그램 행사이다. SMZip과 학생회 PHA:DO의 주관 하에 숙명여대 약학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SMZip선배님들과본교 교수님들께서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셨다. 조정환 학장님의힘찬 개회사로 행사의 시작을 알렸다. The first The best의 가치로 미래를 선도하는글로벌 약 2024 약학대학 국제교류 프로그램 발대식 개최 /bbs/pharmacy/1683/204248/artclView.do 2024-06-24 10:50:52.0 약학부 약학대학에서는 '2024 약학대학 국제교류 프로그램 발대식'을 지난 6월 18일 약학대학 206호에서 개최했다. 발대식에는 약학대학 조정환 학장, 허인영 동문회장, 김미경 동문부회장, 정윤정 동문재무, 김태현 학부장, 김현아 교수, 신민욱 교수, 김도희 교수, 김세건 교수 그리고 파견학생 10명이 참석해 팀원 소개와 탐방계획을 보고하는 시간을 가졌다. 파견학생 10명은 오는 6월 28일 ~ 8월 9일, 하계 방학기간 동안 미국 USC Alfred E. Mann School of Pharmacy and Pharmaceutical Sc 2024년 스승의 날 기념 행사 /bbs/pharmacy/1683/204247/artclView.do 2024-06-24 10:47:32.0 약학부 2024년 5월 15일 스승의 날을 앞두고 5월 13일 스승의 날 행사를 맞아 교수님들께 감사 인사를 전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에는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학생회 PHA:DO가 주최했으며, 약학대학 교수님들께서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 주셨다. 학장님의 인사 말씀 뒤 부학생회장이 약학대학 학생들을 대표하여 감사 편지를 낭독한 후, 학생회 PHA:DO 임원단들의 영상 편지를 감상했다. 이후 동아리 회장들과 학생회 임원들이 직접 작성한 롤링페이퍼를 전달해 드리며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학생회에서는 “항상 숙명여대 약학대 약학부 조예나 대학원생, Redox Biology (IF 11.4, JCR 6.8%) 논문 게재 /bbs/pharmacy/1683/203977/artclView.do 2024-06-04 12:07:43.0 약학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부 김용기 교수 연구팀, 미토콘드리아와 활성산소종 사이의 악순환 고리에서 건강노화의 길을찾다l 활성산소종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역동성 붕괴의 핵심 분자 발굴l 세포노화 제어를 통한 항노화 전략 수립의길 열려숙명여자대학교 약학부 김용기 교수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역동성과 활성산소종 발생 사이의 악순환 고리를 연결하는 핵심 분자 표적을 처음으로밝혀내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정상 상태에서 세포질에 소량 존재하는 단백질 아르기닌 메틸화 효소CARM1에 의해 DRP1이 메틸화되어 미토콘드리아 분열을 약학부 박채원 학생 국제전문 학술지 논문 게재 /bbs/pharmacy/1683/203901/artclView.do 2024-05-29 13:14:53.0 약학부 우리대학 약학부 6학년에 재학중인 박채원 학생(지도교수 김태현)이 공동 1저자로 수행한 연구 결과가 5월 28일 분석화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Analytical Chemistry’(IF 7.4, JCR 7.4%)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 Dual-Emissive Detection of ATP and Hypochlorite Ions for Monitoring Inflammation-Driven Liver Injury In Vitro and In Vivo 본 연구에서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하는 ATP와 염증 상황에 2024학년도 1학기 석·박사학위 공개 논문 발표회 /bbs/pharmacy/1683/203739/artclView.do 2024-05-21 14:59:15.0 약학부 2024년 05월 17일, 약학과 석·박사학위 공개 논문 발표회가 창학B111호에서 진행 되었다.약학과 생명약학전공 학생 4명 치료약학전공 1명의 발표가 이루어졌다.공개논문발표회에는 공개발표자, 지도교수 및 심사위원, 약학대학 교수진, 대학원생 총 50여명이 참석하였다. 한올바이오파마 제 2회 약대생 아이디어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bbs/pharmacy/1683/203409/artclView.do 2024-04-25 10:14:13.0 약학부 우리대학 약학부에 재학 중인 이용은(19학번), 제선영(19학번) 학생이 지난 4월 3일 한올바이오파마에서 주최한 제 2회 약대생 공모전에 참가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약대생 아이디어 공모전은 한올바이오파마가 국내 약대생을 대상으로 신약개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기획했으며 올해 한올바이오파마는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아이디어 및 전략 제안(신경학, 면역항암, 자가면역, 안과)”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해당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기획하며 신약 개발에서의 AI의 활용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주제로 선택 하였던 자가면역질환에서 2024-1학기 동문 기금 및 용산구 약사회 장학금 수여식 /bbs/pharmacy/1683/203166/artclView.do 2024-04-09 10:20:37.0 약학부 2024학년도 1학기 약학대학 동문기금 및 용산구 약사회 장학금 수여식이 2024년 4월 8일 (월) 약학대학 206호에서 진행되었다. 장학금 수여식에는 정영자동문, 김안근 명예교수, 허인영 약학대학 동문회장, 김미경 부회장, 용산구 약사회에서 정창훈 회장, 이병난 총회의장, 신정순 부회장,박종욱 사무국장이 참석하시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약학대학에서는 조정환 학장, 김진석교수, 송윤선 교수, 배규운교수, 김현아 교수, 김태현 학부장, 김도희 교수, 김세건 교수가 참석했다. 약학대학 총 10명의 학생이 장학생으로 선발되었고 신임교원 소개 - 김도희 교수, 김세건 교수 /bbs/pharmacy/1683/202539/artclView.do 2024-03-14 10:30:25.0 약학부 2024년 3월 4일(월)부로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김도희 교수께서 임용되었습니다. 담당과목: 물리약학 연구분야: 표적물질 구조/기능 분석 및 약물개발 학력:2005.03 ~ 2009.02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2009.03 ~ 2015.08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박사 경력:2015.10 ~ 2020.03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8.10 ~ 2020.03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 연구교수 2020.04 ~ 2024.02 제주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 2024.03 ~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2024 2024년 약학부 총 MT /bbs/pharmacy/1683/202538/artclView.do 2024-03-14 10:05:46.0 약학부 2024년도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총MT가 지난 3월 9일~10일 이틀간 포천 오늘리조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숙명여대 약학대학 1~5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신/편입생을 포함한 약학부 재학생 총 120명이 참석하였다. 또한 조정환 교수님, 김태현 교수님, 김도희 교수님, 김세건 교수님께서도 함께 참석해주셨다. 숙명여대약학대학 약학부 제 64대 학생회 PHA:DO (회장 이승연, 부회장 김예원)의 주최로 이루어진 이번 총MT는 레크리에이션 1부 2부, 바베큐 저녁식사, 신입생과 재학생 연결고리 시간 순으로 진행되었다. 리코리스 엔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본원 견학 /bbs/pharmacy/1683/202355/artclView.do 2024-03-07 10:15:17.0 약학부 지난 2월 22일, 리코리스 엔젤 단원 20명은 방준석 교수의 인솔 하에 강원도 원주에위치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 본원을 견학했다. 리코리스 엔젤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소속의리더십 그룹으로, 리더십 함양을 목표로 강연 및 견학 주최, 조제봉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견학은 졸업 후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국과수 연구원의 삶에대해 보다 생생하게 알아볼 기회를 제공하려는 취지에서 리코리스 엔젤 임원진에 의해 기획되었으며, 성공리에마무리되었다. 견학 프로그램은 국과수의 부서별 주요 업무 및 독성학과 약사의 업 약학대학 강영숙 교수님 정년퇴임 및 명예교수 추대 /bbs/pharmacy/1683/202268/artclView.do 2024-03-05 10:54:07.0 약학부 2024년 2월 29일(목)부로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강영숙 교수님께서 정년퇴임을 맞아 우리 대학을 떠나시게 되었습니다.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의 발전과 약학교육을 위해 헌신하신 교수님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명예로운 정년퇴임을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강영숙 교수는 우리 대학 학사·석사 과정, 일본 가나자와대학(金澤大學) 박사 과정, 미국 UCLA 박사후과정을 마치고 1994년 부임했다. 약 30년간 약학대학장, 약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며 약학 분야의 연구와후학 양성에 힘썼다.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사업 유치와 운 2023년도 전기 학부 학위수여식 /bbs/pharmacy/1683/202190/artclView.do 2024-02-29 13:00:31.0 약학부 2023학년도 약학부 전기 학위수여식이 2024년 2월 23일 금요일 백주년기념관 한상은 라운지에서 대면으로 개최되었다.약학대학에서는 총 78명이 학위를 받았다.졸업을 축하하기 위해 약학대학 조정환 학장, 김태현 학부장, 약학대학 교수, 약학대학 동문회 허인영 회장, 김미경 부회장, 장용자 총무, 안영희 서기, 그리고 서울특별시약사회 권영희 회장이 참석해 졸업생들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했다.졸업생 5명에게 학장상, 동문회장상, 대한약사회 표창, 서울특별시약사회 표창, 한국약학교육협의회 이사장상이 수여됬다. 또한 졸업성적최우등상은 4명 2024학년도 약학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bbs/pharmacy/1683/202169/artclView.do 2024-02-28 10:18:35.0 약학부  2024학년도 신/편입생들의입학을 환영하고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 2월20일 약학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이 숙명여자대학교 과학관 651호에서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숙명여대 약학부 제 64대 학생회 PHA:DO에서 주관한 가운데 총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신입생 총 96명이라는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본교 교수님들과 동문회에서도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셨다. 1부에서는조정환 학장님과 허인영 동문회장님의 신입생들의 첫 시작을 축하하는 따뜻한 환영인사로 막을 올렸다. 이어서김태현 학부장님의 숙명여대 약학대학 2023 화이트코트 세레머니 /bbs/pharmacy/1683/201141/artclView.do 2023-12-11 08:08:16.0 약학부 2023년 12월 7일 백주년기념관 한상은라운지에서 2023 화이트코트세레머니가 진행되었다.화이트코트세레머니는 약학 전문교과과정을 마치고 실무실습을 앞둔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학대학 교수와 선배들이 하얀 약사가운을 입혀주며 예비약사가 되는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행사이다.약학대학 조정환 학장, 김현아 학부장, 전라옥 교수, 송윤선 교수, 김우영 교수, 배규운 교수, 강교빈 교수, 방준석 교수, 김태현 교수, 신민욱 교수가 참여하였다. 약학대학 동문회에서는 허인영 회장, 장용자 총무, 황선영 부총무, 안영희 서기가 참여하였다. 2023학년도 1-3학년 대상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 /bbs/pharmacy/1683/201073/artclView.do 2023-12-06 15:58:43.0 약학부 2023년 11월 27일, 11월 28일, 11월 30일,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가 과학관 651호, 창학 B121호에서 진행되었다. 각 연구실에서 진행중인 다양한 연구활동에 대하여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연구실 설명회에는 학장님, 학부장님, 약학대학 교수진, 1,2,3학년 학생이 참석하였다.▲ 11월 27일 2학년 대상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 사진▲ 11월 28일 1학년 대상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 사진▲ 11월 30일 3학년 대상 약학대학 연구실 설명회 사진 2023학년도 2학기 석사학위 논문 공개발표회 /bbs/pharmacy/1683/200968/artclView.do 2023-11-27 14:18:19.0 약학부 2023년 11월 24일, 약학과 석사 공개논문발표회가 창학B111호에서 진행되었다.약학과 생명약학전공 학생 4명, 제약학전공 학생 1명의 발표가 이루어졌고, 학생 한 명당 발표 15분 및 질의응답 5분으로 진행되었다. 공개논문발표회에는 공개발표자, 지도교수 및 심사위원, 약학대학 교수진, 대학원생 총 40여명이 참석하였다. 2023-2학기 세부전공트랙 설명회 /bbs/pharmacy/1683/200791/artclView.do 2023-11-13 15:10:28.0 약학부 2023-2학기 세부전공트랙 설명회가 2023년 11월 13일 월요일 창학B107호 젬마홀에서 진행되었다.설명회에는 학장 조정환 교수, 학부장 김현아 교수, 김태현 교수가 참석하였으며, 김태현 교수가 응용약학, 조정환 교수가 산업약학, 김현아 교수가 임상약학에 대해 학생들에게 설명하였다.총 78명의 재학생이 설명회에 참석하여 세부전공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약학부 박채원 학부생, ‘2023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트래블 어워드 수상 /bbs/pharmacy/1683/200609/artclView.do 2023-11-01 09:52:46.0 약학부 우리대학 약학부 학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채원 학생(지도교수 김태현)이 지난 10월 25일부터27일까지 순천만 생태문화연구원에서 진행된 ‘2023 대한약학회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트래블 어워드(PSK Travel Award)를수상했다. 대한약학회는 약학의 진보와 학술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1946년에설립된 비영리 학술 단체로, 글로벌 약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이번학술대회는 “Exploring the Frontiers of Pharmaceutical Sciences”이라는주제로 개최되었다. 박채원 학생은 ‘Identificat 2023-2학기 동문 기금 장학금 수여식 /bbs/pharmacy/1683/200585/artclView.do 2023-10-30 17:13:45.0 약학부 2023학년도 2학기 약학대학동문 기금 장학금 수여식이 2023년 10월 27일 (금) 약학대학 206호에서 진행되었다. 장학금 수여식에는 정영자 동문, 김안근 명예교수, 허인영 약학대학 동문회장, 김미경 부회장, 안영희 서기가 참석하여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약학대학에서는조정환 학장, 김현아 학부장, 전라옥 교수, 송윤선 교수가 참석했다. 약학대학 총 7명의 학생이 장학생으로 선발되었고, 정영자 장학금, 동문회 기금 장학금, 박수선 장학금의 혜택을 받았다. 2023년 비교과 프로그램 다섯번째 특강, Biomedical science 분야에서의 글로벌 연구현황 및 연구자로서의 약사의 역할 /bbs/pharmacy/1683/197373/artclView.do 2023-10-16 10:06:24.0 약학부 2023년 약학부 진로·취업 비교과 프로그램(구, 전공별 여대생 특성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다섯번째 특강이 10월 13일 금요일 온라인 ZOOM을 통하여 시행되었다.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Keck School of Medicine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유진서 약사(2021년 졸업)가 “Biomedical science 분야에서의 글로벌 연구현황 및 연구자로서의 약사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진행하였다.유진서 약사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생명과학 및 의약학 관련 활발하게 진행되고 2023년 비교과 프로그램 네번째 특강, Real world data를 활용한 임상연구 수행과 약사의 역할 /bbs/pharmacy/1683/197325/artclView.do 2023-10-11 09:54:51.0 약학부 2023년 약학부 진로·취업 비교과 프로그램(구, 전공별 여대생 특성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네번째 특강이 10월 6일 금요일 약학대학에서 개최되었다. IQVIA Korea, Real World Insights에서 Analyst로 활동하고 있는 정정원 약사(2021년 졸업)가 “Real world data 를 활용한 임상연구 수행과 약사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진행하였다.정정원 약사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의약학 분야에서 실사용데이터(Real World Data, RWD)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소개 대학원 입학설명회 /bbs/pharmacy/1683/197273/artclView.do 2023-10-05 09:48:25.0 약학부 약학대학 대학원 입학설명회가 10월 5일 약학대학에서 진행되었다. 2024년도 전기 일반대학원 입학전형에 대한 설명과 대학원 생활 및 지원제도, 졸업 후 진로 등에 대한 전반적 정보가 공유되었다. 이 후 각 교수님들과 질문, 답변의 시간을 가졌다.※ 연재 소식 및 사진 제공 :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김현아 교수 제약산업대회 일반식품 및 건강기능식품(Marketing & BD 직무) 부문 2위 수상 /bbs/pharmacy/1683/197246/artclView.do 2023-10-04 09:47:54.0 약학부 우리대학 약학부에 재학 중인 강나영(19학번), 김나연(19학번), 이선우(20학번) 학생이 지난 8월 17일 한국약학대학생연합 KNAPS와 제약회사 한독에서 주최한 제약산업대회에 일반식품 및 건강기능식품(Marketing BD 직무) 부문에 참가하여 2위를 수상하였다.제약산업대회(Industrial Skills Event; ISE)는 매년 국제약학대학생연합에서 기획하는 직능계발 분야의 공모전으로, 약학대학생들이 팀으로 참가하여 제약산업의 전반적인 제품개발과정의 실무를 모방한 문제를 해결하는 대회이다. 올해는 한독의 제품인 숙취 2023년 비교과 프로그램 세번째 특강, 약학연구 분야에서 약사의 역할 /bbs/pharmacy/1683/197161/artclView.do 2023-09-25 11:00:37.0 약학부 2023년 약학부진로·취업 비교과 프로그램(구, 전공별 여대생 특성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세번째 특강이 9월 22일 금요일 약학대학에서 개최되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수행하고 있는 이다은 약사(2021년 졸업)가“임상연구 분야에서 약사의 역할(연구 역량 개발)”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진행하였다. 이다은약사는 대학원 진학 및 연구 분야 진로를 고민하는 약학대학 재학생들에게 임상약학의 다양한 연구 분야와 직무를 소개하였다. 다학제 협력 임상업무의 경험을 공유하고 레지스트리 및 의료빅데이터 기반 연구,약물이상반응의 바이 2023 약학부 해외연수 프로그램 보고회 /bbs/pharmacy/1683/197160/artclView.do 2023-09-25 10:58:44.0 약학부 2023년 약학부 해외연수 프로그램 보고회가 9월 18일 월요일 젬마홀에서 진행되었다. 지난 여름방학동안 시행되었던“약학부 국제교류 프로그램, USC InternationalSummer Student Program (ISSP)”과 “숙명 글로벌탐방단(Sookmyung GEP), HarvaNEWPharm”에 참여했던 학생들이 해외연수 활동을 보고하는 발표가 진행되었다. 2023 약학부 국제교류 프로그램에는 약학대학 5, 6학년11명(지도교수: 김현아)이 지난 6월 29일부터8월 3일까지 한달 동안 미국 University of So 2023년 비교과 프로그램 두번째 특강,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약사의 역할 /bbs/pharmacy/1683/197159/artclView.do 2023-09-25 10:56:22.0 약학부 2023년 약학부진로·취업 비교과 프로그램(구, 전공별 여대생 특성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두번째 특강이 9월 14일 목요일 약학대학에서 개최되었다. 한국 MSD Regulatory Affairs (RA)팀에서 약사로활동하고 있는 김문주 약사(2020년졸업)가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RA 업무와 약사의 역할”이라는주제의 강연을 진행하였다. 김문주약사는 글로벌 제약회사에서의 약사의 역할(회사 직무)과 인허가(Regulatory Affairs) 업무를 소개하였고 약학대학생들과 Q A 를 통하여 제약회사 진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 2023년 비교과 프로그램 첫 번째 특강, 전문약사의 역할 /bbs/pharmacy/1683/197071/artclView.do 2023-09-18 10:52:44.0 약학부 2023년 약학부 진로·취업 비교과 프로그램(구, 전공별 여대생 특성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첫번째 특강이 9월 8일 금요일 약학대학에서 개최되었다. 소아약료 임상약사로 활동하고 있는 신촌세브란스병원 박주연 약사(2019년 졸업)가 “의료기관 다학제팀에서전문약사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진행하였다. 박주연 약사는 국가자격 전문약사 제도의 시행을 앞두고 국내 전문약사의 역할과 그 중요성에 대한강의를 진행하였고, 이어서 약학대학 학생들과 활발한 토론 시간을 가졌다. 이번 특강은학생들에게 임상약료 실무분야에서 전문약사의 역할에 대한 2023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음악 축제 개최 /bbs/pharmacy/1683/196961/artclView.do 2023-09-11 14:01:03.0 약학부 2023년도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음악 축제 (이하 약음제)가 9월 6일 백주년기념관 앞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약음제를 위해 조정환 약학대학 학장님, 김현아 약학부 학부장님을 비롯한 많은 교수님들과 허인영 동문회장님, 권영희 서울시약사회장님 그리고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재학생들이 참석하였다.올해 약음제는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제63대 학생회 SYN:APSE(회장 박세은, 부회장 신유정)의 기획 아래 진행되었으며, 약학대학 설립 7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히 ‘칠숙잔치’라는이름으로 개최되었다. 약음제 2023 숙명 글로벌탐방단(Sookmyung GEP), 약학부 5학년 ‘HarvaNEWPharm’ 팀 참가 /bbs/pharmacy/1683/196895/artclView.do 2023-09-06 16:49:33.0 약학부 2023 숙명 글로벌탐방단(Sookmyung GEP: Global Exploration Project)에 약학대학 5학년 학생 6명이 선발되었다. 숙명 글로벌탐방단은 학생이 주도적으로 탐방을 기획해 해외 대학 및 기관을 방문하고 심화학습을 수행하는 자기주도형 해외탐방 프로그램으로 1999년 시행 이후 숙명인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국제교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이 프로그램에 선발된 6명의 학생들은 약학대학 김우영 교수의 지도 하에 ‘HarvaNEWPharm’이라는 팀 명으로 지난 6월 23일부터 6월 30일까지 8일간 숙명여대 약학부 연구팀(장창영교수, 배규운 교수), 암세포 죽이는 핵심 경로 찾았다 /bbs/pharmacy/1683/196830/artclView.do 2023-09-04 16:12:54.0 약학부 숙명여자대학교(총장 장윤금) 약학부 장창영, 배규운 교수는 유전자 손상을 입은 세포가 분열 과정에서 암세포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분열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 내용은 8월 18일 네이처 자매지인 세계적 학술지 ‘세포사멸과 분화(Cell Death Differentiation, IF:12.4)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유전자 손상 반응이 분열세포로 신호를 전달하게 만드는 매개 단백질을 최초로 발견하고, 인산화 과정을 통해 분열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새로운 경로를 규명했다는 제3회 데일리팜 약대생 콘텐츠 공모전 대상 수상 /bbs/pharmacy/1683/196819/artclView.do 2023-09-04 14:29:32.0 약학부 데일리팜에서 개최한 제3회 콘텐츠 공모전에서 방문약료, 커뮤니티케어 등 고령사회 약사 역할에 대한 영상 콘텐츠 '우리는 고령사회의 평범한 약사입니다'를 출품해 대상을 수상한 소식입니다. - 숙명여대 김영경 · 이윤영 · 박현지 학생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03730 리코리스 엔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견학 /bbs/pharmacy/1683/196651/artclView.do 2023-08-21 14:14:17.0 약학부 지난 8월 16일, 리코리스 엔젤 단원 34명은 김현아 교수의 인솔 아래 강원도 원주에위치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을 견학했다. 리코리스 엔젤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소속의 리더십그룹으로, 리더십 함양을 목표로 강연 및 탐방 주최, 조제봉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견학프로그램은 심평원의 주요 업무 및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강연, 사옥 견학, 약제관리실 신약등재부 소속 약사의 강연 순서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은한국의 건강보험제도와 심평원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사옥을 직접 둘러보며 심평원에서 이루어지는 업무를 간접 2023학년도 약학부 여름 국제교류 프로그램 (USC ISSP) 시행 /bbs/pharmacy/1683/196590/artclView.do 2023-08-10 13:03:49.0 약학부 약학대학 5학년, 6학년학생 11 명은 김현아 교수의 인솔 아래 미국 Universityof Southern California (USC) 약대에서 진행한 InternationalStudent Summer Program (ISSP)에 지난 6월 29일부터 8월3일까지한달 간 참가했다. USC ISSP는 2023 약학부 국제교류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리 학교 국제협력팀 및 숙명 약대 동문회의 지원으로 시행됐다.2023 USC ISSP에는 숙명 약대 뿐 아니라 전세계 10개 국가, 25개 학교, 107명의약학대학 학생들이 참가해 세계 각 약학부 대학원 조예나 학생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논문 게재 /bbs/pharmacy/1683/196579/artclView.do 2023-08-09 15:22:08.0 약학부 우리대학 대학원 생명약학전공 조예나 학생(지도교수 김용기)의 연구결과가 Free Radical Biology Medicine(IF 7.4) 온라인판에 8월 2일 게재되었으며, 11월호에 정식 출간예정이다. 본 연구에서 SIRT1/3 선택적 저해제로 신규화합물 SPC-180002를 발굴하였다. SPC-180002는 세포내 산화환원 불균형을 초래하고 미토콘드리아 항상성을 붕괴시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특히 P-glycoprotein의 기질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내성암을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 연구는 학부인턴과정